본문 바로가기

스크랩/전원주택

[스크랩] 꼭 볼만한 표준형 전원주택들

 

 

        12평규모의 황토 전원주택으로 지붕은 맛배지붕과 토기와를 사용하였다.   벽체는 황토벽돌을 이용하였고  중방과 인방을

        설치하여 안정감을 주었고 아궁이는 앞쪽에 설치하였다. 내부는 방1개 주방, 욕실정도 가능할것으로 보인다.

        현재는 숙소로 이용되어 전체가 하나의 방으로 되어 있었다.

 

      

       위 주택을 측면에서 본 모습인데 왼쪽 툇마루가 보이고 그옆이 욕실이다.

 

       예전에 강원도 산간지방에서 화전민들이 쉽게 지어서 사용했던 귀틀집의 형태이다.

       흙한단 쌓은후 통나무나 각재를 이용하여 성냥개비 쌓아 올리듯 한단씩 반복하여 집을 짓는다. 별도의 기둥이 없어도

       네 귀가 기둥역할을 해준다.  지붕은 산간지방에서 쉽게 구할 수있는 피죽(통나무 껍질 부분)을 사용하여 자연미를 살렸다.

        

      20평 규모의 목조주택이다. 구조는 1층에 방1, 거실, 주방, 욕실등이 있고 2층에 큰방이 하나있는 복층형이다.

      2000년 이후 상당한 인기를 끌었던 캐나다식 목조주택으로 외벽은 통나무가 아닌 목재를 사이딩형태의 긴 판재로 이용

      하였다.  목조주택의 또다른 특징은 데크의 미학이다. 목재를 이용하여 건물 옆 공간에 데크를 설치해 놓으면 건물이 훨씬

     돋보이며 넓고 다양한 이용이 가능해진다.

 

       8평규모의 아담한 황토방이다. 아궁이는 측면에 지붕을 달아 아래에 설치하였으며 생활주택이라기 보다 본채가 있을경우

       별도의 용도(찜질방이나 사랑방)로 사용할 수있다.

 

       본채와 황토방이 어우러진 이상적인 전원주택이다.

 

      

       능소화 아치가 돋보이는 전원주택 입구 모습이다. 별도의 대문없이 토담 칸막이형태로 만들어 자연스런 분위기를 연출

       하였다.

 

       15평 규모의 거주형 황토주택이다.

 

더블클릭을 하시면 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솥가마를 올린 아궁이의 모습...

 

 

 

 

농가주택 리모델링, 시골집 수리하기, 전원주택, 통나무주택, 목조주택, 주말주택, 세컨드하우스, 황토주택,

귀농, 귀촌, 강원도 부동산, 횡성 부동산의 모든 것이 산골전원주택이야기에 다 있습니다.

 

 

즐감하셨으면 ▼ 하단에 추천하기 추천하기 한표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출처 : 산골 전원주택이야기
글쓴이 : 느티나무 원글보기
메모 :